난자 형성 과정은 수정을 위해 필요한 배우자를 형성하는 일련의 과정이기도 하지만 임신을 위해 준비하는 과정이기도 합니다. 난소의 주기와 자궁에서의 월경 주기는 호르몬에 의해 맞물려 조절됩니다. 호르몬의 작용은 매우 복잡한 되먹임 기작의 조절을 받습니다. 보다 자세히 난소주기와 월경주기, 배란 전과 후의 호르몬 상태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난소주기와 월경주기
간단히 말해서, 난소주기는 배란을 기준으로 난포가 자라고 제2난모세포가 발달하는 배란 전 단계와 난포가 황체가 된 후의 배란 후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월경주기는 난소주기와 맞물려서 일어납니다. 일반적으로 여성의 월경 첫날을 월경 주기의 첫날로 잡습니다. 월경은 자궁으로부터의 출혈로 약 5일 정도 지속됩니다. 이 시기는 난소주기의 배란 전 단계의 시작에 해당합니다. 월경은 자궁내막이 허물어져 질을 통해 몸 밖으로 나오는 것으로 혈액과 자궁내막의 세포의 덩어리, 점액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월경 후 자궁내막이 다시 자라기 시작하며, 배란될 때까지 계속 자라서 약 20~25일째에 최고치에 이르게 됩니다. 그러나 만약 이때에 착상이 이루어지지 못하면 다시 월경이 시작되고 이어서 새로운 난소주기와 월경주기가 시작됩니다.
난소주기와 월경주기를 조절하는 호르몬은 방출호르몬, 난포자극호르몬, 황체형성호르몬,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이렇게 총 5가지입니다. 이 다섯 가지 호르몬에 의해 난포가 자라고 배란이 일어나는 난소주기와 배의 착상을 위해 자궁의 속막을 준비하는 월경주기의 각 과정이 일치하여 일어납니다.
배란 전의 호르몬 상태
시상하부로부터 나오는 방출호르몬이 뇌하수체 전엽을 자극하여 황체형성호르몬과 난포자극호르몬을 분비하게 합니다. 난포자극호르몬은 난소의 난포 성장을 자극하고 난소주기를 시작하게 합니다. 이어서 난포는 에스트로젠을 분비합니다. 배란 전 단계 초기의 난포는 작고 비교적 적은 양의 에스트로젠을 분비하지만, 난포가 자라면서 더욱더 많은 양의 에스트로젠을 분비하게 되고 비교적 낮은 농도이지만 높아지기 시작하는 에스트로젠은 뇌하수체에 되먹임을 합니다. 따라서 배란 전 단계에는 난포자극호르몬과 황체형성 호르몬의 혈중 농도가 낮게 유지될 수 있습니다. 배란 때가 다가오면 호르몬의 농도가 급작스럽게 변하여 에스트로젠이 배란 직전에 최고치를 이루게 되고 이 높은 농도의 에스트로젠이 시상하부에 양성 되먹임하여 뇌하수체가 난포자극호르몬과 황체형성호르몬을 다량으로 분비하게 합니다.
배란과 배란 이후의 호르몬 상태
난포가 파열되고 난 후의 난포자극호르몬의 역할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최고치의 황체형성호르몬은 그 영향력을 발휘해서 감수분열을 완결하에 하여 제1난모세포를 제2난모세포로 변화시킵니다. 또한 여러 가지 효소에 작용하여 난포를 파열하게 하고 배란을 유도하며 황체 형성을 촉진합니다. 황체형성 호르몬은 황체에서의 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로젠의 분비를 촉진합니다.
배란 후의 혈중 에스트로젠과 프로게스테론의 높은 농도는 난소와 자궁에 큰 영향을 끼칩니다. 이 두 호르몬이 합하여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에 음성되먹임을 가하면 난포자극호르몬과 황체형성호르몬의 농도가 떨어집니다. 난포자극호르몬과 황체형성호르몬의 농도가 낮아지면 배란 이후 난포의 발달이 중지되고 배란도 중지됩니다. 또한 황체형성호르몬이 낮아지면서 황체가 점차 퇴화하게 됩니다. 배란 후기가 거의 끝나갈 무렵, 배가 착상하지 않는 한 황체는 에스트로젠과 프로게스테론의 분비를 멈춥니다. 이 두 호르몬의 혈중 농도가 떨어지면 시상하부는 다시 뇌하수체를 자극하여 난포자극호르몬과 황체형성 호르몬을 분비하게 함으로써 다시 새로운 주기가 시작됩니다.
월경주기의 조절
월경주기는 에스트로젠과 프로게스테론만으로 직접 조절됩니다. 주기 제5일째부터 에스트로젠이 증가하고 이후에 프로게스테론도 증가함으로써 자궁내막이 두꺼워지기 시작합니다. 이 호르몬의 농도가 떨어지면 자궁내막이 퇴화하여 월경이 시작되며, 그 첫날이 새로운 월경주기의 제1일에 해당합니다.
수정이 일어나 임신이 되면 난소주기와 월경주기는 당분간 중단됩니다. 임신 초기에 자궁내막에 착상하여 발달하는 배는 황체형성호르몬과 같은 작용을 하는 사람 융모막 생식샘자극호르몬을 분비합니다. 이 호르몬은 황체를 유지시켜서 에스트로젠과 프로게스테론을 계속 분비하게 하여 자궁내막을 그대로 유지시킵니다.
'생명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의 뇌 구조와 기능 (0) | 2023.01.14 |
---|---|
임신, 수정부터 출산까지의 단계별 변화 (0) | 2023.01.10 |
남성의 생식계 구조(정자, 정소, 전립샘, 음경 등) (0) | 2023.01.03 |
여성의 생식계 구조(난소, 나팔관, 자궁 등) (0) | 2022.12.31 |
혈관의 구조 및 심장의 수축과 이완, 심장마비에 관하여 (0) | 2022.12.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