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명과학

혈관의 구조 및 심장의 수축과 이완, 심장마비에 관하여

by 부지런한꿀벌 2022. 12. 29.
반응형

 

혈관의 구조

혈관의 가운데에 있는 모세혈관은 혈액과 조직 간에 물질 교환이 일어나는 전달망입니다. 이러한 기능에 적합하도록 모세혈관은 얇은 바깥막에 둘러싸인 한 겹의 상피세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모세혈관의 안쪽 표면은 부드러우며 혈구 세포가 순환계를 통과할 때 상처를 입지 않도록 보호합니다.

 

동맥, 소동맥, 정맥, 그리고 소정맥은 모세혈관에 비해 벽이 두꺼우며 이 벽은 모세혈관에서와 같은 상피로 이루어져 있지만 두 겹의 조직층으로 두껍게 되어있고, 정맥보다는 동맥이 더욱 두껍고 단단한 벽을 가집니다. 중간층은 주로 민무늬 근육이며, 수축에 의해 동맥과 정맥의 혈류를 조절합니다.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진 바깥층은 탄성을 가지고 혈관이 늘어날 수 있도록 합니다. 정맥은 심장 쪽으로 개폐하는 정맥판막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맥판막은 역류를 막아줌으로써 혈액이 심장을 향해서만 흐를 수 있도록 해줍니다.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심장

심장은 순환계의 중심이며 대정맥으로부터 계속 혈액이 들어오고 수축하여 전신으로 혈액을 내보냅니다. 이러한 이완과 수축이 교대로 일어나면서 심장의 주기가 형성됩니다. 

  • 이완기 : 심장이 전체적으로 늘어나는 것을 이완기라고 합니다. 두 개의 심방과 심실로 혈액이 각각 들어옵니다. 혈액은 대정맥을 통해 우심방으로 들어오며 허파 정맥을 통해 좌심방으로 들어옵니다. 또한 이완기에는 심방과 심실 사이에 있는 방실판막이 열림으로써 심방에서 심실로 혈액이 유입된다는 이완기는 약 0.4초간 지속됩니다. 
  • 수축기 : 수축기에는 심방이 약 0.1초 단위로 매우 빠르게 수축하며 심실이 혈액으로 완전히 가득 차게 됩니다. 이때가 심장 주기 중 유일하게 심방이 수축하는 시기입니다. 심실은 약 0.3초간 수축합니다. 이러한 수축력으로 방실판막이 닫히고 혈액이 나가는 통로에 있는 반월판막은 열립니다. 반월 판막이 열리면서 산소가 부족한 혈액은 허파 동맥을 통해 허파로, 산소가 풍부한 혈액은 대동맥을 통해 전신으로 흐릅니다. 또한 혈액은 수축기의 후반기에 심방으로 돌아옵니다. 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 내보내는 분당 혈액량을 심박출량이라고 하며 좌심실에서 내보내는 혈액량(평균적으로 약 75ml)에 심박동 수를 곱한 값입니다. 일반인의 경우 안정 시 심박동 수는 약 70회이므로 심박출량은 평균 분당 5.25리터가 됩니다. 

 

심장마비란 무엇인가?

심장마비는 심장 근육세포가 죽으면서 심장이 충분한 양의 혈액을 운반할 수 없게 되는 것입니다. 심장근육은 심장동맥을 통해 산소가 공급되며 보호됩니다. 심장동맥은 심장에서 막 나온 대동맥에서 이어지는데, 만약 이러한 동맥들이 막히게 되면 심장근육은 산소결핍으로 죽게 되고 심장 동맥이 막히게 되면 심장의 끝 부분에 혈액 공급이 중단됩니다. 

 

그렇다면 무엇이 심장 동맥의 차단을 일으키는 것일까요? 경우에 따라서는 혈관 내벽에 지질이 축적되어 발생하는 동맥 경화로 인해 동맥이 점차 좁아집니다. 이러한 경우 환자는 협심증으로 인해 가슴통증을 경험하는데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해 심장이 부하를 받을 때 주로 발생합니다. 협심증은 심장의 일부분에 혈액 공급이 잘 이뤄지지 않아 미래에 심장마비가 일어날 수 있음을 예견하는 신호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심장마비는 자주, 그리고 예고 없이 발생합니다. 혈액 덩어리가 심장 동맥을 완전히 차단하거나 동맥 경화가 일정 수준 이상까지 도달하면 심장 근육에 큰 손상이 발생합니다. 갑자기 환자는 가슴 한복판에 쥐어짜는 듯한 통증을 느끼게 되고 어깨, 팔, 목, 턱 등으로 퍼지기도 합니다. 다른 증상으로는 식은땀, 구토, 호흡곤란, 현기증, 기절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 30년간 미국에서 심장 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25% 이상 감소했다고 합니다. 이는 건강 교육과 조기 진단이 감소의 주요 요인이라고 생각됩니다. 최근에는 많은 사람들이 건강에 더욱 관심을 갖게 되어 전체적으로 흡연율이 감소하고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또한 식이 섭취에 관심을 가지고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습니다. 고혈압과 같은 증상이 있더라도 초기에 빠른 진단을 받고 적절한 치료를 병행한다면, 심장마비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