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명과학

건강한 식이요법과 극단적인 식이요법

by 부지런한꿀벌 2022. 12. 23.
반응형

모든 동물이 필요로 하는 기본 영양소는 같습니다. 모든 동물은 음식물로부터 다음 세 가지를 얻어내야 합니다. 첫째, 모든 신체활동의 힘을 내는 연료, 둘째, 동물 자신의 분자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유기물질, 셋째, 동물이 기본원료로부터 만들어 낼 수 없는 물질이나 필수영양소를 식품의 형태로 섭취해야 합니다. 우리가 앞선 글에서 살펴봤던 여러 종류의 소화계는 이러한 세 가지 기본적 요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진화적으로 적응되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특히 인간의 영양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체의 연료가 되는 화학에너지

신체가 수행하는 모든 활동에는 화학에너지 형태의 연료가 필요합니다. 음식물이 소화되어 생긴 포도당과 같은 작은 분자는 세포대사를 통해 산화되면서 에너지 형태인 ATP를 생산합니다. 세포는 대개 포도당과 지방을 연료원으로 이용하지만 이들의 공급이 부족할 때 단백질을 사용하게 됩니다. 식품에 들어있는 에너지 양은 열량으로 측정합니다. 

 

동물이 살아남기 위해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물질대사에는 호흡, 심장 박동 그리고 조류와 포유류의 경우 체온 유지 등이 포함됩니다. 휴식 중인 동물이 단위 시간당 꼭 필요로 하는 연료를 칼로리로 나타낸 것을 기초대사율(BMR)이라고 합니다. 어떤 활동이든, 심지어는 조용히 책상에 앉아 공부하는 것도 BMR보다는 많은 양의 칼로리를 소모합니다. 

 

만일 필요로 하는 에너지보다 더 많은 칼로리를 섭취하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여분의 에너지를 제거하기보다는 다양한 형태로 세포에 저장하게 됩니다. 간과 근육은 에너지를 포도당의 종합체인 글리코겐 형태로 저장합니다. 사람은 하루분의 기초대사량을 공급할 충분한 글리코겐을 저장하고 있습니다. 만일 우리가 소모량보다 더 많은 양의 칼로리를 받아들여 글리코겐이 가득 저장된다면 세포는 과다한 에너지를 지방으로 저장합니다. 우리가 먹는 음식에 지방이 적게 들어있다 하더라도 간은 여분의 포도당과 단백질을 지방으로 전환하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체지방과 식이요법

우리는 체내 지방이 너무 많아지는 것을 꺼려하는가 하면 다른 문화권에 있는 사람들은 적당히 살찐 몸매를 아름답게 생각하기도 합니다. 문화적 관점이 어떻든 지방과 지질류는 사람을 구성하는 필수요소입니다. 체내에 지방에 축적되면 여러 가지 이로운 점이 있습니다. 체지방은 추위를 막아주고 적당한 양으로 면역계를 건강하게 유지시킵니다. 지나치게 마른 사람은 혈중 내 비타민 A와 베타카로틴 양이 적은 경향이 있는데 이 경우 암과 같은 질병에 걸리기 쉽다고 합니다. 건강한 여자는 체중의 20~25%가 지방이고 건강한 남자는 보통 15~19%가 지방입니다. 지방이 과다하거나 지나치게 뚱뚱하게 되면 심각한 질병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많아지며 생명이 단축될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체지방이 과다 증가하면 종종 식이요법을 통해 이를 해결하려 합니다. 일시적인 식이요법은 결국 효과가 없을뿐더러 매우 위험할 수도 있습니다. 오늘날 체중 조절에 접근하는 가장 좋은 방식은 오랜 기간을 두고 습관을 바꿔가는 것입니다. 즉 운동량을 늘리고, 먹는 것은 제한하되 균형 잡히고 만족감을 주는 식이요법을 병행하는 것입니다. 균형 잡힌 식이요법은 하루 최소 1,210kcal와 적절한 양의 모든 필수영양소를 포함하는 것입니다. 또한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과 함께 식이요법을 함으로써 부작용 없이 신체는 점차 날씬해지고 과도하게 자리 잡았던 여분의 지방은 제거될 수 있습니다. 

 

극단적인 식이요법의 문제점

첫째, 탄수화물을 극단적으로 줄이는 식이요법부터 알아보겠습니다. 탄수화물을 1일 100g 이하로 섭취하게 될 경우, 초기에는 수분이 빠지면서 몸무게 감소 현상이 생깁니다. 그러나 오랫동안 탄수화물이 극단적으로 부족하게 되면 피로와 두통 현상이 발생하고 근육이 빠지게 됩니다.

 

둘째, 과도하게 지방은 절제하는 식이요법을 하는 경우입니다. 지방 kcal의 20% 이하를 섭취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동물성 단백질을 모두 제거하거나 동물성, 식물성 지방을 모두 제거하는 식이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이러한 식이요법을 지속할 경우 필수 지방산과 단백질, 무기질이 부족해집니다. 또한 지용성 비타민 흡수가 감소하고 여성의 경우 생리 주기가 불규칙해집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