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과 여러 기관을 둘러싸고 있는 상피조직
상피는 체표면이나 기관 내벽을 싸고 있는 세포 집단입니다. 피부의 가장 바깥 부분인 표피가 상피의 예입니다. 상피조직은 허파, 콩팥, 요관, 식도, 위, 창자 등에 배열되어 있습니다. 상피조직의 한쪽 면은 이러한 통로에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고 반대편은 섬유성 단백질과 견고한 다당류로 구성된 바닥막(기저막, basement membrane)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상피조직의 세포와 바닥막은 촘촘하게 짜여 방어벽을 구성하거나 물질의 통로나 속이 빈 기관 내에서 공기나 액체 물질을 교환하는데 관여합니다.
각 상피조직은 기능에 적합한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중층 편평 상피는 조직의 표면에서 세포 분열이 일어나 노화된 세포가 떨어져 나감에 따라 분열된 세포가 위쪽으로 이동해서 재생됩니다. 따라서 중층편평상피는 벗겨진 표피 부위를 덮는데 매우 적합합니다. 예를 들어 식도 벽은 거친 음식물로 상처 입기가 쉬운데 사람의 식도는 중층 편평 상피가 덮고 있고 상피 바깥 표면은 두꺼운 죽은 세포층이어서 손상된 표면은 떨어져 나가고 분열된 새로운 세포에 의해 채워집니다. 단층 편평 상피는 매우 얇고 물질이 새어 나오기가 쉬워 확산에 의한 물질 교환에 적합한 조직입니다. 혈관의 내피나 허파꽈리를 싸고 있는 상피가 바로 단층 편평 상피입니다.
입방 상피와 원주상피는 비교적 많은 세포질을 가지고 있어 분비될 물질을 생산하며 넓은 표면으로 물질이 분비 또는 흡수됩니다. 소화관이나 기도에 배열된 세포들은 점막이라 불리는 부드럽고 습기 있는 상피를 구성합니다. 기도의 점막은 점막에 붙어있는 섬모의 운동으로 분비물 속의 먼지, 꽃가루 등 여러 입자를 기도 밖으로 밀어내 허파를 깨끗하게 유지합니다.
움직임에 관여하는 근 조직
근조직은 근육섬유라고 불리는 긴 세포 다발로 이루어져 있으며 동물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조직입니다. 모든 척추동물은 뼈대 근육, 심장근육, 민무늬 근육 등 3가지 형태의 근육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뼈대 근육은 힘줄에 의해 뼈에 부착되며 이는 몸을 자발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해 줍니다. 뼈대 근육은 대개 자기 의지대로 수축이 가능하므로 수의근이라 부릅니다. 뼈대 근육 섬유는 밝은 줄무늬와 어두운 줄무늬가 교대로 나타나는 끈 모양의 다발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 줄무늬 때문에 뼈대 근육을 가로무늬근이라 부릅니다. 줄무늬 모양은 규칙적으로 반복되어 나타나는데 두 줄무늬 사이의 간격을 근수축의 구조적, 기능적 단위라고 합니다. 성인은 일정한 수의 뼈대 근육 세포를 가지고 있습니다. 운동을 한다고 해서 근육 세포수가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그 크기가 커집니다.
심장근육은 심장을 수축시키는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뼈대 근육처럼 줄무늬가 있으며 세포는 가지가 나 있는 모양입니다. 세포의 끝 부분은 서로 견고히 맞붙어 연결되어 있어서 심박을 하는 동시에 한 세포에서 다른 세포로 수축 신호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민무늬 근육의 근육세포는 소화관, 방광, 동맥의 내벽 그리고 다른 내부기관들의 벽에서 볼 수 있습니다. 방추형의 모양을 하고 있고 뼈대 근육보단 천천히 수축하지만 오랜 시간 지속적으로 수축할 수 있습니다. 민무늬 근육과 심장근육은 뼈대 근육과는 달리 대부분이 불수의적입니다. 이 근육들은 대부분 의식의 지배를 받지 않습니다. 우리는 발들 내딛거나 손을 들기 위해 뼈대 근육을 쓰기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의식적인 명령이 없이도 민무늬 근육은 위를 움직이고 심장근육이 혈액을 방출하도록 합니다.
전달 체계망을 형성하는 신경조직
동물의 생존능력은 환경에서 오는 자극에 대해 적절히 반응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동물은 자극에 반응하기 위해 정보를 신체의 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으로 보내야 합니다. 신경조직은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전달 체계망을 형성하여 정보를 전달합니다. 신경계는 자극을 감지하고 반응을 결정하고 지시하며 신체의 각 부분이 통합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신경조직의 구조적, 기능적인 단위는 뉴런이라는 신경세포입니다. 뉴런은 신경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특수하게 분화되어 있습니다. 신경신호는 일반적으로 한 뉴런에서 여러 뉴런으로 전달됩니다. 뉴런에서 뉴런으로의 신호 전달은 대개 한 세포에서 다음 세포로 확산되는 화학 물질에 의해 일어납니다.
신경조직은 뉴런과 뉴런을 지지해주는 많은 세포들로 구성되는데 이 세포들 중 일부는 뉴런에 영양분을 공급합니다. 나머지 세포들은 가지돌기 주위를 둘러싸서 절연체의 역할을 함으로써 신호가 빨리 전달될 수 있도록 합니다.
'생명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의 소화계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0) | 2022.12.22 |
---|---|
동물의 기관 형성과 기관계에 대하여 (0) | 2022.12.21 |
동물의 구조와 조직의 기능 (0) | 2022.12.20 |
문화의 단계와 인간의 삶 (0) | 2022.12.19 |
인간의 직립보행과 뇌의 팽창, 그리고 진화 (0) | 2022.1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