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소화계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사람의 소화관이 중요 부분은 입, 입안, 혀, 인두, 식도, 위 작은창자, 큰창자, 곧창자, 항문 등입니다. 침샘, 이자, 간 등의 소화샘에서 분비된 소화액은 관을 통해 소화관으로 들어갑니다. 간에서 분비되는 소화액은 쓸개 주머니에 저장되었다가 작은 창자로 분비됩니다.
일단 음식을 삼키면 소화관벽을 구성하고 있는 민무늬근육을 리듬 있게 수축시키는 꿈틀운동(연동운동)으로 음식을 소화관으로 보내게 됩니다. 약 5초에서 10초 정도가 지나면 음식물은 인두를 통화하여 식도와 위로 내려가며 식도 끝 부분이 수축하여 음식물을 위에 머물도록 합니다.
날문조임근(유문괄약근)이라 불리는 고리 모양의 근육은 음식물이 창자로 들어가는 것을 조절해 줍니다. 이 조임근은 졸라매는 끈처럼 작용하여 위 안의 음식물이 충분히 소화될 때까지 위안에 머물도록 관을 막아줍니다. 소화의 마지막 단계와 영양분의 흡수는 작은 창자에서 일어나며 약 5~6시간 이상 걸리는 과정입니다. 소화되지 않은 물질은 큰창자로 나가게 되며, 여기서 수분에 체내로 흡수되고 남아있는 음식물과 함께 대변이 형성됩니다.
소화는 입 안에서부터 시작된다
만약 우리가 무언가를 먹기 위해 식당에 들어간다면, 음식 주문도 하기 전에 침샘에서 관을 통해 침이 입안으로 분비될 것입니다. 음식을 보거나 냄새를 맡았을 때 또는 음식을 먹을 시간이 되면 이런 반응이 나오기도 합니다. 침샘은 하루에 1리터 이상의 침을 분비합니다.
침은 음식물 분해에 중요한 몇 가지 물질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미끌미끌한 당단백질은 입안의 연조직 부위를 보호해 주고 단단한 음식물이 쉽게 넘어갈 수 있도록 매끄럽게 해 줍니다. 완충액은 청량음료나 토마토 같은 산성 음식을 중화시켜주고 치아가 상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항균 요소들은 음식물과 함께 입으로 들어오는 유해한 많은 세균들을 죽입니다. 침은 녹말을 가수분해하는 효소인 아밀라아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음식물을 씹을 때 입 안에서부터 기계적, 화학적 소화가 시작됩니다. 단단한 음식물을 씹어 자르고, 부수고 갈아줌으로써 삼키기 쉽게 해주고 음식의 표면이 소화 효소에 더욱 많이 접촉할 수 있게 해 줍니다. 입안에 있는 혀는 미뢰로 덮여있는 근육질 기관입니다. 혀는 음식의 맛을 느끼게 해 줄 뿐 아니라 입안의 음식물을 잘 다루어 공 모양의 덩어리로 모양을 바꾸어 줍니다. 음식물을 삼킬 때 혀는 이 부서진 음식물 덩어리를 입안 뒤로 밀어 인두로 보냅니다.
음식물과 호흡의 통로는 인두로 열려있다
식도와 기도가 통하는 입구는 모두 인두(pharynx)에 있습니다. 식도의 입구는 조임근에 의해 거의 항상 닫혀있고 기도의 입구는 숨을 쉬기 위해 열려있습니다. 이러한 상태는 우리가 막 씹기를 끝낸 음식물을 삼킬 때 변합니다. 음식을 삼키면 부서진 음식물 덩어리고 인두로 들어가면서 삼키기 반사가 일어납니다. 즉 식도의 조임근은 이완되어 부서진 음식물 덩어리가 식도로 들어가게 하고 동시에 후두가 위로 움직여 후두덮개를 밀어 기도 입구를 덮어서 음식물이 기도로 들어가지 못하게 합니다. 이 움직임을 겉에서 볼 수 있는데 음식을 삼킬 때 "Adam's apple"이 깔딱 움직이는 것이 바로 그것입니다. 부서진 음식물 덩어리가 식도로 들어가면 후두는 아래쪽으로 움직여서 기도는 다시 열리고, 식도조임근은 부서진 음식물 덩어리가 내려간 뒤 다시 수축합니다.
식도는 음식을 위장으로 밀어내고, 위는 음식물을 분해한다
식도는 근육으로된 관으로 부서진 음식물 덩어리를 인두에서 위장으로 보냅니다. 식도의 근육은 두 개의 층으로 되어 있습니다. 돌림근육은 식도 주위를 둥글게 싸고 있고 세로근육은 식도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어 돌림근육이 수축하면 식도는 좁아지고 세로근육이 수축하면 식도의 길이가 짧아집니다. 한 근육층이 수축하면 다른 근육층은 이완됩니다. 두 층의 근육 모두 불수의적으로 수축합니다.
우리가 음식을 계속해서 먹을 필요가 없는 가장 큰 이유는 위(stomach)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위는 탄력이 매우 커서 약 2리터에 해당하는 음식물을 수용할 만큼 늘어날 수 있습니다. 이 양은 우리의 몸이 몇 시간 동안 필요로 하는 것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양입니다.
위에서는 화학적인 소화도 일부 일어납니다. 위에서 분비하는 위액은 점액, 효소, 그리고 강산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위의 내벽은 많은 주름이 잡혀있으며 내벽에서는 위샘으로 들어가는 구멍이 관찰됩니다. 위샘을 3가지 형태의 세포로 구성되며 각각 다른 성분을 분비합니다. 점액세포는 점액을 분비하여 내벽을 매끄럽게 하고 위의 내벽세포를 보호합니다. 벽세포는 염산을 분비하며 주세포는 펩시노겐을 분비하는데 이는 소화효소 펩신의 비활성 형태입니다.
위벽 근육의 수축은 화학적 소화를 도와줍니다. 위의 활발한 움직임에 의해 음식물과 위액이 잘 섞여 산성유미즙의 혼합물을 만듭니다. 위의 양끝은 대부분 닫혀 있습니다. 식도와 위를 연결하는 통로는 음식물 덩어리가 꿈틀운동에 의해 아래로 내려와 위에 도착할 때를 제외하고는 항상 닫혀 있어 산성 유미즙이 식도로 역류하는 것을 막아줍니다.
'생명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한 식이요법과 극단적인 식이요법 (0) | 2022.12.23 |
---|---|
작은창자와 큰창자의 소화와 영양분 흡수 과정 (0) | 2022.12.22 |
동물의 기관 형성과 기관계에 대하여 (0) | 2022.12.21 |
동물의 몸 구조를 구성하는 상피조직, 근 조직, 신경조직 (0) | 2022.12.20 |
동물의 구조와 조직의 기능 (0) | 2022.1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