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3

건강한 식이요법과 극단적인 식이요법 모든 동물이 필요로 하는 기본 영양소는 같습니다. 모든 동물은 음식물로부터 다음 세 가지를 얻어내야 합니다. 첫째, 모든 신체활동의 힘을 내는 연료, 둘째, 동물 자신의 분자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유기물질, 셋째, 동물이 기본원료로부터 만들어 낼 수 없는 물질이나 필수영양소를 식품의 형태로 섭취해야 합니다. 우리가 앞선 글에서 살펴봤던 여러 종류의 소화계는 이러한 세 가지 기본적 요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진화적으로 적응되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특히 인간의 영양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체의 연료가 되는 화학에너지 신체가 수행하는 모든 활동에는 화학에너지 형태의 연료가 필요합니다. 음식물이 소화되어 생긴 포도당과 같은 작은 분자는 세포대사를 통해 산화되면서 에너지 형태인 ATP를 생산합.. 2022. 12. 23.
작은창자와 큰창자의 소화와 영양분 흡수 과정 화학적 소화와 영양분 흡수를 담당하는 작은창자 음식물이 위를 지나 작은창자로 갈 때는 어떤 형태가 될까요? 음식물은 기계적으로 나뉘어 작은 입자들이 되고 액체와 섞여 마치 걸쭉한 죽처럼 됩니다. 화학적인 측면에서 보면 입에서 녹말의 소화가 시작되고 단백질은 위에서 작은 분자로 분해됩니다. 그러나 피자나 음료수와 같은 음식물을 구성하는 고분자 물질의 화학적 소화는 거의 대부분 작은 창자에서 일어납니다. 작은창자는 길이가 무료 6m가 넘는 가장 긴 소화관으로 양분이 작은창자에서 혈액 내로 흡수됩니다. 이자와 간은 작은창자의 소화작용에 기여하는 큰 분비샘들입니다. 이자는 소화효소와 중탄산염이 풍부한 알칼리성 액체를 생산해 냅니다. 이 알칼리성 액체는 작은 창자로 들어가는 산성유미즙을 중화시킵니다. 간은 쓸개즙.. 2022. 12. 22.
인간의 소화계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사람의 소화계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사람의 소화관이 중요 부분은 입, 입안, 혀, 인두, 식도, 위 작은창자, 큰창자, 곧창자, 항문 등입니다. 침샘, 이자, 간 등의 소화샘에서 분비된 소화액은 관을 통해 소화관으로 들어갑니다. 간에서 분비되는 소화액은 쓸개 주머니에 저장되었다가 작은 창자로 분비됩니다. 일단 음식을 삼키면 소화관벽을 구성하고 있는 민무늬근육을 리듬 있게 수축시키는 꿈틀운동(연동운동)으로 음식을 소화관으로 보내게 됩니다. 약 5초에서 10초 정도가 지나면 음식물은 인두를 통화하여 식도와 위로 내려가며 식도 끝 부분이 수축하여 음식물을 위에 머물도록 합니다. 날문조임근(유문괄약근)이라 불리는 고리 모양의 근육은 음식물이 창자로 들어가는 것을 조절해 줍니다. 이 조임근은 졸라매는 끈처럼 작용하.. 2022. 12. 22.
동물의 기관 형성과 기관계에 대하여 조직의 배열을 통해 기관이 형성되다 매우 단순한 구조를 가진 해면동물을 제외한 모든 동물들은 기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관이란 몇 가지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어 특수 기능을 수행하기에 적합합니다. 예를 들어 심장은 대부분이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상피조직, 결합조직, 신경조직도 가지고 있습니다. 심장의 각 방에 배열되어 있는 상피조직은 혈액의 유출을 방지하고 혈액이 최소한의 마찰로 흐를 수 있도록 매끈한 표면을 제공합니다. 결합조직은 심장을 탄력 있게 해 주고 심장 근육 벽이나 판막을 강화해 줍니다. 신경세포는 심장 근육이 리듬 있는 수축을 하도록 합니다. 위(stomach)는 주로 세 가지 조직으로 구성되며 이들이 여러 층으로 배열되어 있습니다. 위의 내벽은 두꺼운 원주상피로 싸여있어 이 곳에서 점액과.. 2022. 12. 21.